🐥 문제 분류
- 구현
🐥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0055
20055번: 컨베이어 벨트 위의 로봇
길이가 N인 컨베이어 벨트가 있고, 길이가 2N인 벨트가 이 컨베이어 벨트를 위아래로 감싸며 돌고 있다. 벨트는 길이 1 간격으로 2N개의 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칸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1부
www.acmicpc.net
🐥문제 설명
길이가 N인 컨베이어 벨트가 있고, 길이가 2N인 벨트가 이 컨베이어 벨트를 위아래로 감싸며 돌고 있다. 벨트는 길이 1 간격으로 2N개의 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칸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1부터 2N까지의 번호가 매겨져 있다.
벨트가 한 칸 회전하면 1번부터 2N-1번까지의 칸은 다음 번호의 칸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고, 2N번 칸은 1번 칸의 위치로 이동한다. i번 칸의 내구도는 Ai이다. 위의 그림에서 1번 칸이 있는 위치를 "올리는 위치", N번 칸이 있는 위치를 "내리는 위치"라고 한다.
컨베이어 벨트에 박스 모양 로봇을 하나씩 올리려고 한다. 로봇은 올리는 위치에만 올릴 수 있다. 언제든지 로봇이 내리는 위치에 도달하면 그 즉시 내린다. 로봇은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 로봇을 올리는 위치에 올리거나 로봇이 어떤 칸으로 이동하면 그 칸의 내구도는 즉시 1만큼 감소한다.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로봇들을 건너편으로 옮기려고 한다. 로봇을 옮기는 과정에서는 아래와 같은 일이 순서대로 일어난다.
- 벨트가 각 칸 위에 있는 로봇과 함께 한 칸 회전한다.
- 가장 먼저 벨트에 올라간 로봇부터, 벨트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할 수 있다면 이동한다. 만약 이동할 수 없다면 가만히 있는다. - 로봇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하려는 칸에 로봇이 없으며, 그 칸의 내구도가 1 이상 남아 있어야 한다.
- 올리는 위치에 있는 칸의 내구도가 0이 아니면 올리는 위치에 로봇을 올린다.
- 내구도가 0인 칸의 개수가 K개 이상이라면 과정을 종료한다. 그렇지 않다면 1번으로 돌아간다.
종료되었을 때 몇 번째 단계가 진행 중이었는지 구해보자. 가장 처음 수행되는 단계는 1번째 단계이다.
🐥 문제 풀이
- 이 문제의 경우, 로봇을 옮기는 순서 그대로 알고리즘 화한다!
1. 벨트와 로봇을 우선 회전한다. 내려가는 로봇 고려!
2. 로봇이 존재한다면, 로봇 이동을 고려! 로봇 배열 끝-1부터 한칸씩 앞으로 이동 가능한 지 확인 ( 벨트 내구도도 고려)
3. 로봇의 올리는 위치에 로봇을 올릴 수 있는 지 고려
4. 벨트 내구도의 값이 0인 것의 개수에 따라 반복문 진행 결정
- 컨베이어 벨트와 로봇의 이동은 deque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 rotate 함수 사용 가능
🐥 문제 풀이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find_round(belts,robots,n, k):
round = 0
while True :
belts.rotate(1) #컨베이어 벨트 회전
robots.rotate(1) # 로봇도 같이 회전
robots[-1] =0 # 마지막위치 로봇 내려옴
for i in range(n-2, -1, -1) :
if robots[i] ==1 and robots[i+1]==0 and belts[i+1]>=1:
robots[i+1] =1 # 로봇 이동
robots[i] = 0 # 로봇 이동
belts[i+1]-=1 # 로봇이 이동된 컨베이어 벨트는 내구도 감소
robots[-1] = 0 # 끝에 있는 로봇 아웃
if belts[0] !=0 and robots[0]==0: #로봇을 올릴 수 있는 지 확인
robots[0]=1
belts[0]-=1
round +=1 # 라운드 증가
if belts.count(0) >= k :
break
return round
if __name__ == '__main__':
n, k = map(int, input().split())
belts= deque(map(int,input().split())) # 컨베이어 벨트 생성
robots = deque([0]*n)
res = find_round(belts,robots,n,k)
print(res)
🐥 파이썬 deque 관련 함수
- https://camellia-journey.tistory.com/54
[ 파이썬 ] deque 관련 함수
👍 python collections.deque - deque ( 덱 ) 는 double-ended queue 의 줄임말로서 스택과 큐를 합친 것과 같은 양방향에서 데이터 삽입, 추출 등이 가능한 자료형을 의미 * 덱과 관련된 함수 함수 설명 append()..
camellia-journey.tistory.com
'스터디IT🌼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aekJoon ] 마법사 상어와 토네이도 _ 시뮬레이션 (0) | 2022.10.11 |
---|---|
[ 프로그래머스 ] 네트워크 _ DFS (0) | 2022.10.09 |
[ 파이썬 ] deque 관련 함수 (0) | 2022.10.05 |
[ 프로그래머스 ] 소수찾기 _ 완전탐색 (1) | 2022.10.05 |
[ 프로그래머스 ] 이중우선순위큐 _ Heap (0) | 2022.10.04 |
댓글